참여교수 명단
- 성명
- 한창근
- 직위구분
-
연구팀장
- 연구실번호
- 02-760-0613
- 연구실주소
- 교수회관 40406호
- 이메일
- chkhan@skku.edu
- 홈페이지
- 사업참여기간
- 2020.09.01~
- 약력
- 미국 Washington University in St. Louis 사회사업학 박사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석사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학사
- 경력
- 성균관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싱가포르 국립대학교 사회사업학과 교수
미국 Center for Social Development(Washington University in St. Louis) 박사후 연구원
- 저서
- 2014. (공저) Asset-Building Policies and Innovations in Asia. Taylor & Francis Group.
2014. (공저) 자산건설: 아시아정책. 북경대학교.
- 논문
- 강시온, 조규형, 한창근. (2020). 중장년층의 경제적 노후준비를 위한 자산형성지원사업의 도입에 관한 탐색적 연구: 전문가 FGI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40(6), 1429-1454.
배호중, 강시온, 한창근. (2020). 첫 일자리 특성이 혼인에 미치는 영향-4년제 대졸자의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72(4), 93-124.
이보영, 한창근. (2020). 자산이 여성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령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36(4), 1-31.
이숙현, 한창근. (2020). 여성노인의 자산이 주관적 신체건강에 미치는 영향: 경제활동참여여부의 조절효과 검증. 사회과학연구, 59(1), 405-448.
김용회, 한창근. (2020). ‘사회적 가치’ 이슈를 다룬 언론기사의 의미연결망 분석: 2006년부터 2019년까지 국내 중앙지 언론보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72(2), 201-229.
박연주, 한창근. (2020). 훈육행위로 인한 아동학대사건 판례에 대한 고찰. 한국아동복지학, 69(1), 29-55.
조원희, 한창근. (2019). 자택소유 및 자택유형에 따른 노인의 삶의 만족도 변화에 관한 종단연구-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한 초기값 및 변화율의 영향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46(4), 91-123.
이보영, 최효진, 한창근. (2019). 시각장애인의 집밖 활동 시 불편정도와 차별경험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문화여가생활 만족도를 매개로. 시각장애연구, 35(4), 49-74.
김수연, 한창근. (2019). 정신장애인의 사회적 낙인지각이 분노표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50(3), 33-63.
조유성, 한창근. (2019). 육아공동체 참여 경험에 관한 연구-서울시 공동육아 활성화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67, 61-90.
맹성준, 김은경, 한창근. (2019). 자산이 가족갈등수준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50(2), 179-206.
최효진, 이보영, 조원희, 한창근. (2019). 잠재계층분석을 이용한 아동·청소년 심리지원서비스 시범사업 참여자 만족의 예측변인 탐색. 한국아동복지학, 66, 39-64.
김용회, 한창근. (2019). ‘수저계급’ 관련 웹 뉴스 기사에 대한 의미연결망 분석. 한국사회복지학, 71(3), 55-81.
김용회, 한창근. (2019). 한국사회에 대한 청년인식의 잠재계층유형: 경제적 지위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50(1), 309-339.
이숙현, 한창근. (2019). 자아존중감이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 성별 및 연령집단 간 다집단 분석. 보건사회연구, 39(1), 293-333.
맹성준, 한창근. (2019). 가계부채가 가족갈등수준에 미치는 영향: 자산과 소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46(1), 57-81.
Han, C.-K. (2019). A qualitative study on participants` perceptions of child development accounts in Korea. Asia Pacific Journal of Social Work and Development, 29(1), 70-81.
강시온, 한창근. (2018). 청년 가구주의 자산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우울감의 매개효과 검증. 사회복지연구, 49(4), 195-220.
유지연, 한창근. (2018). 주택연금 가입 경험 연구. 사회복지정책, 45(4), 115-144.
한창근, 조원희. (2018). 한국의 시민포용성의 이념형분석: 시도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9(3), 179-208.
Han, C.-K. (2018). Jean Valjean Bank in Korea: an innovative approach to poor defendants sentenced to pay fines. Asia Pacific Journal of Social Work and Development, 28(3), 168-177.
배호중, 한창근. (2018). 학자금 대출과 혼인이행: 4년제 대학 졸업 여학생을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8(1), 520-555.
Hong, S.-I., & Han, C.-K. (2018). An Exploratory Study of Soldiers` Attitudes Toward a Matched Savings Program in Korea. Journal of Social Service Research, 44(1), 30-37.
그 외 다수
- 관심분야
- 사회복지정책분석
자산형성지원제도의 개발 및 평가
자산과 삶의 질
비교사회복지
- 성명
- 김기현
- 직위구분
-
참여교수
- 연구실번호
- 02-760-0638
- 연구실주소
- 교수회관 40418호
- 이메일
- kihyun.kim@skku.edu
- 홈페이지
- 사업참여기간
- 2020.09.01~
- 약력
-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School of Social Work, PhD
University of Chicago, Social Service Administration, MA
이화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 석사
이화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 학사
- 경력
- 2016.~현재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부교수
2010.~2016.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조교수
2016. University of Chicago, Social Service Administration, Visiting Scholar
2019.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학대/재난/트라우마 분과학회장
2018.~2019.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편집위원장
2014.~2016. 한국아동복지학회 총무위원장
2009.~2010. 박사후연구원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BK21 사업단
2008.~2010. Post-doctoral research fellow USC School of Social Work
- 저서
- 2016. (공저) Child Maltreatment Research, Policy, and Practice: Contributions of Penelope K.Trickett.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 논문
- Chae, S., Shin, J., Ji, D., Choi, J. W., Lee, J. Y., Hong, M., ... & Kim, J. W. (2021). A Brief Depression and Anxiety Rating Scale for Sexual Violence Victims. Psychiatry Investigation, 1-7.
최진영, & 김기현. (2020). 신체학대 및 가정폭력의 중복발생과 아동의 비행궤적의 관계연구. 한국가족복지학, 67(4), 249-283.
류희정, 김기현, & 김재원. (2020). 아동의 성폭력 피해와 우울 간의 관계 연구: 수면장애와 동네 안전감의 역할 분석. 사회복지연구, 51(4), 133-172.
임수지, & 김기현. (2020). 부모의 비일관적 양육방식이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또래 애착에 미치는 영향: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65, 5-37.
김기현, 최지현, 유비, & 김경희. (2020). 아동보호서비스에 신고된 아동성학대 피해아동 유형화 연구-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69(3), 113-143.
정명신, & 김기현. (2020). 대인폭력 피해아동을 위한 외상중심치료 프로그램 내 가족개입 요소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피해자학연구, 28(2), 115-150.
김기현, 유비, & 김경희. (2020). 학대발생가정 유형화와 발달단계별 특성. 한국사회복지학, 72(3), 181-211.
최진영, 유비, 김기현, 최윤선, & 함혜욱. (2020). 청소년 자살위험의 유형화와 심리사회적 특성연구. 사회복지연구, 51(2), 57-96.
장희선, & 김기현. (2020). 아동학대 발생 환경 내의 누적적 위험요인과 아동 문제행동 간의 종단 연구: 아동학대 변화궤적 잠재계층의 매개요인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51(1), 5-39.
Negriff, S., Gordis, E. B., Susman, E. J., Kim, K., Peckins, M. K., Schneiderman, J. U., & Mennen, F. E. (2020). The Young Adolescent Project: A longitudinal study of the effects of maltreatment on adolescent development.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32(4), 1440-1459.
Chung, H., Kim, J. W., Kwon, J., Kim, K., Ryou, B., & Ryu, H. J. (2019). Development of brie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rating scale for sexual violence victims. Psychiatry investigation, 16(11), 868-871.
최지현, 김기현, & 김재엽. (2019). 성인 여성의 성폭력 피해경험 유형화 연구: 전국 성폭력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50(4), 271-296.
유비, & 김기현. (2019). 청소년의 적극적 여가활동 접근성과 몰입: 다층적 시간 가용성을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21(4), 1-31.
김기현, 유비, & 김재원. (2019). 한국형 성폭력 사례정보 추출도구 (K-SACRAI) 의 개발과 적용. 피해자학연구, 27(3), 213-244.
장희선, & 김기현. (2019). 아동의 체벌 경험과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학교사회복지, 48, 131-165.
최진영, & 김기현. (2019). 부모의 간접적 애정표현이 청소년의 우울과 자살생각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 (66), 185-217.
김기현, 염동문, & 유비. (2019). 현장 아동학대위험도 평가기반 학대발생가족 유형화 연구. 피해자학연구, 27(1), 163-189.
최진영, & 김기현. (2019). 아동학대 및 가정폭력의 중복발생이 아동의 우울궤적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회복지연구, 50(1), 101-133.
Ryou, B., Choi, Y., Hong, J. S., & Kim, K. (2019). Cultural orientation and psychosocial adjustment among immigrant adolescents in South Korea. Journal of immigrant and minority health, 21(4), 767-777.
김기현, 김용회, & 김경희. (2018). 아동학대와 가정폭력의 중복발생 연구: 아동보호서비스의 관점. 사회복지연구, 49(4), 221-249.
유비, 최진영, 김기현, & 김경희. (2018). 아동학대행위자의 양육행동 영향요인 연구: 아동기 학대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64), 107-143.
손예진, 김기현, & 김재원. (2018). 아동기 역경 경험이 성인 성폭력 피해자의 외상후스트레스 장애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 (64), 145-172.
김진석, 유비, 장희선, 김경희, & 김기현. (2018). 지역사회 빈곤과 아동 재학대 관계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63), 79-109.
김기현, 유비, 손예진, & 김경희. (2018). 아동학대행위자의 심리사회적 특성 및 유형화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62), 207-243.
그 외 다수
- 관심분야
- 아동/청소년복지, 여성복지, 정신건강
아동학대 및 방임, 성폭력, 트라우마와 레질리언스
이주 아동/청소년 적응, 문화와 가족과정(family process)
사회적으로 취약한 아동과 가족을 위한 개입
- 성명
- 김민아
- 직위구분
-
참여교수
- 연구실번호
- 02-760-0659
- 연구실주소
- 호암관 51106호
- 이메일
- minahkim@skku.edu
- 홈페이지
- 사업참여기간
- 2020.09.01~
- 약력
- 2012. 미국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사회사업학 박사
2007.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MSW)
2005. 연세대학교 사회복지학, 신문방송학 학사
- 경력
- 2019.9~현재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부교수
2015.3~2019.9 명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조교수~부교수
2013.9~2015.2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연구교수
2012.9~2013.4 미국 USC University Center for Excellence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CA–LEND 박사후펠로우
2012.9~2013.5 미국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사회사업대학원 박사후 연구원
- 저서
- 2016. (공저) Child and Adolesent Resilience within Medical Contexts (Chapter 8 Resilience and Pediatric Cancer Survivorship in Cultural Context).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15. (공저) Transformative social work practice (Chapter 15 Lifespan perspectiv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AGE Publications.
2011. (공저) Improving Healthcare through Advocacy: A Guide for the Health and Helping Professions (Chapter 10 Advocacy for Health Care Consumers Needing Mental Health Services). John Wiley & Sons.
- 논문
- 심혜선, 전종설, 김경희, 김민아, 허원빈. (2021). 도박중독자를 위한 단기거주 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사회복지실천과 연구, 18(1), 71-111.
Kim, M. A., Yi, J., Molloy, J., & Choi, K. (2021). The impact of compassion fatigue on the well-being of oncology social workers in Korea. Journal of Social Service Research, 1-15.
허일권, 김민아, 정상미. (2020). 지역사회에서 통합고용된 성인 지적장애인의 근로 경험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 51(4), 39-71.
김민아, 황신영, 정상미, 성지민. (2020).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유행 상황에서 성인 지적장애인을 돌보는 부모의 서비스 욕구. 한국가족복지학, 67(4), 129-165.
김민아, 김찬권, 정대희. (2020). 소아청소년암으로 자녀와 사별한 부모들의 사별지원 서비스 욕구와 선호. 보건사회연구, 40(4), 360-400.
김수현, 김민아. (2020). 암환자를 돌보는 병동 간호사의 공감피로 경험 탐색. 디지털융복합연구, 18(11), 581-593.
Yi, J., Kim, M. A., Choi, K. H., & Bradbury, L. (2020). Oncologists’ experience of delivering bad news in Korea. OMEGA-Journal of Death and Dying, 1-18.
김민아, 최권호, 유정원. (2020). 소아청소년암 심리사회 서비스의 장애요인과 개선방안에 대한 서비스 제공자의 인식 연구. 청소년복지연구, 22(2), 31-60.
이종화, 최권호, 김민아. (2020). 소아청소년암 경험자 및 가족 대상 심리사회적 개입 효과성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사회복지연구, 51(2), 97-124.
Kim, M. A., Yi, J., Wilford, A., & Kim, S. H. (2020). Parenting changes of mothers of a child with cancer. Journal of Family Issues, 41(4), 460-482.
김민아, 유정원, 최권호. (2020). 소아청소년 암 경험자 및 가족을 위한 심리사회 서비스의 성과 인식: 서비스 제공자의 관점. 보건사회연구, 40(1), 51-89.
이미선, 김민아. (2019). 포토보이스를 통해 양육을 결정한 미혼모의 삶 들여다보기. 한국가족복지학, (66), 5-38.
정상미, 김민아. (2019). 성인초기 지적장애인의 자기결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가족결속력과 가족융통성의 조절효과 분석. 사회복지연구, 50(4), 151-184.
Cho, S., Kim, M. A., & Kwon, S. I. (2019). Using the photovoice method to understand experiences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working in social enterprises. Disability and Health Journal, 12(4), 685-693.
Yi, J., Kim, M. A., Choi, K., Droubay, B. A., & Kim, S. (2019). Compassion satisfaction and compassion fatigue among medical social workers in Korea: the role of empathy. Social Work in Health Care, 58(10), 970-987.
Kim, M. A., Yi, J., Sang, J., & Jung, D. (2019). A photovoice study on the bereavement experience of mothers after the death of a child. Death Studies, 1-15.
Yamada, A. M., Lee, K. K., Kim, M. A., Moine, M., & Oh, H. (2019). Beliefs about etiology and treatment of mental illness among Korean presbyterian pastors. Journal of Religion and Health, 58(3), 870-880.
박미영, 김민아. (2019). 학령기 자녀를 둔 여성결혼이민자의 어려움과 바람에 관한 포토보이스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64), 61-100.
김민아, 이재희, 정대희, 김찬권. (2019). 소아청소년암으로 자녀를 잃은 어머니의 사별지원 서비스 욕구. 보건사회연구, 39(2), 291-331.
김민아, 이재희, 최권호, 김수현. (2019). 종양의료 및 복지서비스 제공자들의 공감피로 완화를 위한 서비스 욕구. 비판사회정책, (63), 47-100.
Yi, J., Kim, M. A., & Akter, J. (2019). How do they grow out of their cancer experience? Korean adolescent and young adult cancer survivors’ stories. Ethnicity & Health, 1-17.
박경미, 김민아. (2019). 중· 고령 장애인의 인터넷 활용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경제활동 참여의 조절효과 분석. 한국장애인복지학, 43(43), 99-131.
Park, S. K., Rhee, M. K., & Kim, M. A. (2019). Job stress, daily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low-wage workers in Korea: the role of resilience. Asia Pacific Journal of Social Work and Development, 29(2), 149-162.
이선혜, 김민아, 서진환, 송영매. (2018). 정신장애인의 자기-스티그마 감소를 위한 집단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46(4), 5-34.
Yi, J., Kim, J., Akter, J., Molloy, J. K., Ah Kim, M., & Frazier, K. (2018). Pediatric oncology social workers’ experience of compassion fatigue. Journal of Psychosocial Oncology, 36(6), 667-680.
Kim, M. A., Yi, J., & Choi, K. (2018). Perceived Benefits and Challenges of Psychosocial Service Uses for Adolescents and Young Survivors of Childhood Cancer. 보건사회연구, 38(3), 247-278.
김민아, 최권호, 이재희, 김종희. (2018). 소아암을 겪은 이들에 대한 명칭과 사회적 정체성. 비판사회정책, (60), 91-134.
Kim, M. A., Park, J. H., Park, H. J., Yi, J., Ahn, E., Kim, S. Y., ... & Hong, J. S. (2018). Experiences of peer exclusion and victimization, cognitive functioning, and depression among adolescent cancer survivors in South Korea.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88(4), 441.
Yi, J., Kim, M. A., Choi, K., Kim, S., & O’Connor, A. (2018). When does compassion fatigue hit social workers? Caring for oncology patients in Korea. Qualitative Social Work, 17(3), 337-354.
Yi, J., Kim, M. A., Parsons, B. G., & Wu, Y. P. (2018). Why did I get cancer? Perceptions of childhood cancer survivors in Korea. Social Work in Health Care, 57(4), 300-314.
이선혜, 송영매, 김민아, & 서진환. (2018). 정신장애인 자기-스티그마 감소프로그램의 개발과 파일럿실행: 정체성 재구성을 위한 이야기치료의 적용. 가족과 가족치료, 26(1), 157-183.
Kim, M. A., Yi, J., Sang, J., & Molloy, J. (2018). The impact of a child’s cancer on the father’s relationship with his spouse in Korea.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7(1), 166-175.
Kim, M. A., Yi, J., Prince, K. C., Nagelhout, E., & Wu, Y. P. (2018). The Effects of Individual-and network-Level factors on discussion of cancer experiences: survivors of childhood cancer in Korea. Journal of Psychosocial Oncology, 36(1), 31-48.
그 외 다수
- 관심분야
- 장애 및 만성질환
건강과 정신건강 불평등
암 서바이버십
지역사회 통합
포토보이스
- 성명
- 최희정
- 직위구분
-
참여교수
- 연구실번호
- 50904호
- 연구실주소
- 호암관 50904호
- 이메일
- elphie@skku.edu
- 홈페이지
- 사업참여기간
- 2022.09.01.~
- 약력
- 이화여자대학교 가정관리학과 학사
이화여자대학교 가정관리학과 석사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Human Development & Family Studies 박사
- 경력
-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Altoona 조교수 (2009-2014)
- 저서
- 2016. (공저) Health contributions to marital quality: Expected and unexpected links In J. Bookwala (Ed.), Couple relationships in the middle and later years: Their nature, complexity, and role in health and illness. (pp.176-196).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5. (공저) Gender and parent care. In S. K. Whitbourne (Ed.), The Encyclopedia of Adulthood and Aging (pp.533-537). Wiley-Blackwell.. Wiley-Blackwell.
- 논문
- 정찬우, 최희정. (2022). 노인의 문자메시지 및 SNS 활용역량과 심리적 복지감의 관계: 비공식적 사회관계망 접촉의 매개효과와 가구유형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노년학, 42(2), 201-221.
You, S., & Choi, H. (2021). Assets and Life Satisfaction of Older Korean Parents: Mediating Effects of Multiple Children's Adult Status Attainment. Journal of Comparative Family Studies, 52(3), 480-507.
최희정, 남보람, 유수빈. (2021). 세대 간 거주근접성과 중고령 부모에게 제공하는 경제적 지원. 한국노년학, 41(2), 253-270.
Choi, H. (2021). Giving and receiving spouse care and marital satisfaction among older Korean individuals. Social Science & Medicine, 272, 1-9.
정찬우, 최희정. (2021). 노인의 문자메시지 및 SNS 활용역량과 비공식적 사회관계망의 접촉에 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9(3), 401-414.
Yorgason, J. B., Choi, H., Neupert, S. D., Cichy, K. E., & Hill, M. S. (2020). Microlongitudinal Analysis of Memory Failures, Negative Affect, and Marital Interactions. Psychology Aging, 35(1), 8-19.
최희정, 남보람. (2019). 다자녀와의 접촉빈도 및 접촉유형과 중노년기 주관적 복지감. 가정과삶의질연구, 37(4), 27-39.
Choi, H., Nam B., Kim, S., & Park, C. (2019). Contact with Parents and Parents-in-Law, Gender, and Marital Satisfaction in Korea.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81(5), 1192-1205.
정은경, 최희정. (2019). 이혼과 노년기 성인의 신체건강 –자존감과 우울감의 매개효과와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 가정과삶의질연구, 38(3), 55-72.
유재언, 최희정. (2019). 고령부부-비동거자녀 세대간 교환관계 유형: 2008년과 2017년의 차이 비교. 가정과삶의질연구, 37(2), 69-87.
장은경, 최희정. (2019). 중년에서 이혼과 신체건강의 관련성: 성별에 따른 가족/사회관계만족도의 매개효과.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4(1), 24-43.
- 관심분야
- 중노년기발달, 가족관계학, 노년학
- 성명
- 배정희
- 직위구분
-
참여교수
- 연구실번호
- 40305호
- 연구실주소
- 교수회관 40305호
- 이메일
- jungheebae@skku.edu
- 홈페이지
- 사업참여기간
- 2022.09.01.~
- 약력
-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 학사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 석사
University of Georgia 사회사업학 박사
- 경력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 (2019-2021)
- 논문
- Lee, S., Bae, J., Sharkey, C. N., Bakare, O. H., Embrey, J., & Ager, M. (2022). Professional social work and public libraries in the United States: A scoping review. Social Work, 67(3), 249-265.
Kim, E., Bae, J., & Han J. (2022). Government consulting program to encourage knowledge sharing between nonprofit social service agencies in South Korea. Journal of Social Service Research, 48(1), 73-86.
Caplan, M. A., Birkenmaier, J., & Bae, J. (2021). Financial exclusion in OECD countries: A scoping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Welfare, 301(1), 58-71.
Kim, E., Bae, J., & Han, J. (2021). The perception of leaders regarding networking among nonprofit social service agencies: Focusing on competitive environments in South Korea. Journal of Social Service Research, 47(3), 426-441.
이선우, 배정희. (2021). 한국 정부기관의 주요 정책평가 사례분석. 공공정책연구, 38(1), 55-83.
Bae, J. (2020). Teen parents’ cumulative inequality in job achievement: Mediation effect of educational achievement. Social Work Research, 44(2), 99-109.
Bae, J., Jennings, P. F., Hardeman, C. P., Kim, e., Lee, M., Littleton, T., & Saasa, S. (2020). Compassion satisfaction among social rork practitioners: The role of work-life balance. Journal of Social Service Research, 46(3), 320-330.
Cho, H., Choi, Y., Choi, G., Bae, J., & Seon, J. (2019). Social policies and services for survivors of domestic violence in South Korea. International Social Work, 62(5), 1358-1370.
Bae, J., & Mowbray, O. (2019). Millennial generation’s job search activity and job quality: Findings from the National Longitudinal Survey of Youth. Journal of Social Service Research, 45(2), 269-277.
- 관심분야
- 사회적기업 및 사회적경제, 사회복지행정, 청년정책
- 성명
- 엄명용
- 직위구분
-
참여교수
- 연구실번호
- 02-760-0636
- 연구실주소
- 교수회관 227호
- 이메일
- myum@skku.edu
- 홈페이지
- 사업참여기간
- 2020.09.01~2022.08.31
- 약력
- 1993. 5. 미국 플로리다주립대학(Florida Sate University) 사회사업학 박사(Ph.D. in Social Work)
1989. 5. 미국 텍사스주립대학(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사회사업학 석사(MSSW)
1981. 8. 성균관대학교 문과대학 영어영문학과 학사(BA)
- 경력
- 2019.~2020. 성균관대학교 사회과학대학장
2017.~2020. 국민건강보험공단 장기요양등급판정위원회 위원
2010.11~현재 AI(Appreciative Inquiry) 연구 및 실천기구의 한국 TAOS Associate 활동
2011.11~2017.12 국가통계위원회 본회의 위원
2011.1~2012.12 여성가족부 정책 자문위원
2011.1~2011.12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장
2003.1~2003.8 OECD 본부(Paris, France) Research Consultant
- 저서
- 2020. (공저) 사회복지 실천기술의 이해(4판). 학지사.
2020. (공저) 사회복지 실천의 이해(5판). 학지사.
2019. (공저) 한국의 사회복지(2018-2019). 학지사.
2018. (공저) 사회복지학개론(3판). 학지사.
그 외 다수
- 논문
- 김동순, 엄명용. (2020). 화재 피해 노인의 외상 후 스트레스가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노인복지연구, 75(4), 61-90.
문이지, 엄명용. (2020). 소아완화의료 심리정서지원 자원봉사자 연계 프로그램에 참여한 환자와 부모의 경험 연구: 꿈틀꽃씨의 사례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40(3), 351-391.
안혜우, 엄명용. (2020).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융합적 대응방안 모색.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1(6), 297-310.
김동순, 엄명용. (2020). 가족지지와 유방암 생존자의 정서처리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긍정적 재평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72(2), 37-64.
Cho, H., Chun, J., Kwon, I., Kim, D. H., Um, M. Y., Chang, H., & Seon, J. (2020). Factors Related to Intimate Partner Violence and Survivors’ Help-Seeking among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Journal of Aggression, Maltreatment & Trauma, 29(3), 365-382.
유지희, 엄명용. (2020). 청소년의 사이버불링(Cyberbullying) 피해경험 정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교적응의 매개효과-성별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69(1), 111-141.
이의빈, 엄명용. (2019). 여자대학생의 성역할 고정관념과 성역할 정체감이 진로포부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 50(4), 5-29.
Kim, D. H., Um, M. Y., Cho, H., Lee, E. B., Chun, J. S., & Chang, H. (2019). Factors associated with types of sexual assault victimization and bystander behavior among South Korean university students. Violence and victims, 34(6), 952-971.
한소정, 엄명용. (2019). 세월호 참사 관련 사회복지실천 경험 연구. 사회복지연구, 50(3), 185-222.
이웅, 엄명용. (2019). 장애인거주시설 생활지도원의 이직의도 영향요인 연구. 재활복지, 23, 25-62.
김선희, 엄명용, 이의빈, 조준동. (2019). 시각장애인 당사자관점에 기초한 베리어프리 전시감상환경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0(8), 265-276.
강시온, 조원희, 엄명용. (2019). 1인 가구 청년의 청년기 발달과업 수행에 대한 자신감 유형과 그 경제적 예측요인: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하여. 사회복지연구, 50(2), 53-81.
김영은, 엄명용. (2018).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부모의 정서적 지지와 학생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9(4), 5-30.
김용회, 엄명용. (2018). 청소년의 차별경험, 스트레스, 그리고 행복감간의 경로분석 연구. 아동과 권리, 22, 587-610.
Kim, D. H., & Um, M. Y. (2018). The relationships among family income, parental depression, and adolescent aggression in South Korea: A latent growth mediation model.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84, 168-175.
그 외 다수
- 관심분야
- 가족 및 조직 내 정신건강
강점관점 실천
구성주의 사회복지실천